기사 메일전송
해수부, 작년 해양쓰레기 13만 8000톤 수거…2018년 대비 45% 많아
  • 배준석 기자
  • 등록 2021-03-11 15:47:09

기사수정
  • 작년 전국 연안 해양쓰레기 2018년 9만 5000톤 대비 약 45% 많은 13만 8000톤 수거…플라스틱 평균 83% 가장 많아
  • 바다환경지킴이 1000여명 수거한 해안쓰레기량 약 3만 3000톤 전체 해안쓰레기 수거량 약 29% 차지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는 최근 3년간 해양쓰레기 수거량과 ‘국가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해양수산부는 최근 3년간 해양쓰레기 수거량과 '국가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2020년에는 전국 연안에서 해양쓰레기를 2018년 9만 5000톤보다 약 45% 많은 13만 8000톤을 수거했고, 그 중 해안쓰레기에 대해 지난 3년간 모니터링한 결과 플라스틱이 평균 8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해수부와 지자체 등이 수거한 해안쓰레기, 침적쓰레기, 부유쓰레기 내역을 해양환경정보포털을 통해 집계한 결과로, ‘국가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결과는 해양수산부가 전국 바닷가 40곳에서 매년 6차례에 걸쳐 정기적으로 조사한 해안쓰레기의 양과 종류 등에 관한 통계다.

 

해양쓰레기 수거량…해안쓰레기 약 7만 8000톤 69%

 

최근 3년간 평균 해양쓰레기 수거량을 살펴보면, 우선 수거된 장소를 기준으로 바닷가의 해안쓰레기가 약 7만 8000톤 69%로 가장 많았고, 바닷속에 쌓여 있는 침적쓰레기가 약 2만 9000톤으로 25%, 바다 위에 떠다니는 부유쓰레기가 약 7000톤 6%였다.

 

해안쓰레기 전체 수거량은 2018년 약 4만 8000톤에서 2020년 약 11만 2000톤으로 2배 이상 증가한 반면, 침적쓰레기 수거량은 2018년 약 4만 2000톤에서 2020년 약 1만 8000톤으로 57% 감소했다.

 

아울러, 전체 해양쓰레기 중에서 집중호우, 태풍 등으로 인해 발생한 재해쓰레기의 수거량이 2018년 약 1만 4000톤에서 2020년 4만 8000톤으로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부에 따르면 해안쓰레기 수거량이 늘어난 것은 최근 태풍 등으로 재해쓰레기가 다수 발생한 것과 정부의 해양쓰레기 관리 사업에 대한 투자 확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바다환경지킴이, 해안쓰레기 약 3만 3000톤 약 29% 수거

 

이와 함께, 2019년부터 전국 바닷가에 상시 배치돼 해안쓰레기를 신속하게 수거하고 있는 바다환경지킴이(해양환경미화원)의 역할이 컸는데, 2020년에 1000여명의 바다환경지킴이가 수거한 해안쓰레기량은 약 3만 3000톤으로 2020년 전체 해안쓰레기 수거량의 약 29%를 차지했다.

 

특히, 바다환경지킴이가 최초 시행된 2019년에 200여명이 약 2700톤을 수거한 데 비해 2020년은 1000여명이 약 3만 3000톤을 각각 수거해, 1인당 월평균 수거량이 2019년 1톤 300kg 대비 2020년 3톤 500kg 수준으로 169% 증가했다.

 

이는 2020년에 재해쓰레기가 급증한 것에 더해, 지속적인 현장점검 및 월별 실적보고 등 성과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실적에 따라 다음 해 지자체별 인원 배분에 반영해 지자체의 사업관리 효율을 개선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앞으로도 해양쓰레기 관리에 있어 바다환경지킴이의 역할과 체계적인 사업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유쓰레기 수거↑, 침적쓰레기 수거 상대적↓

 

또한, 정부와 지자체가 해가 갈수록 급증하는 재해쓰레기 대응에 역량을 집중함에 따라, 해류를 따라 이동하는 부유쓰레기 수거는 증가한 반면, 바다 밑에 가라 앉아 있는 침적쓰레기 수거는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지난 3년간의 ‘국가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해안쓰레기 중 평균 8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유형은 음료수병, 뚜껑 등 경질형이 26.2%로 가장 많았고, 스티로폼 부표 등 발포형이 20.7%, 어업용 밧줄 등 섬유형이 17.1%, 비닐봉투 등 필름형이 11.8%를 차지했다.

 

외국발 해안쓰레기는 개수 기준으로 전체 해안쓰레기의 1.3%, 무게 기준으로 4.1%이며, 중국에서 온 쓰레기가 95%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최성용 해양수산부 해양보전과장은 “가장 효과적인 해양쓰레기 관리 정책은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이를 위해 환경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해 육상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천에 설치하는 차단막 개수를 늘리고, 연간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발생량 약 6만 7000톤의 54%를 차지하는 폐어구·부표를 줄이기 위해 2022년 하반기에 어구·부표 보증금제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해수부는 지자체의 재정적 부담을 줄이는 차원에서 해양쓰레기 관리사업 국고보조율을 높이고 바다환경지킴이를 1300명까지 늘리는 등 수거 역량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해양쓰레기 문제에 대한 국민인식을 높이기 위해 기업, 단체 등이 자발적으로 해변을 입양해 정화활동을 하는 민간주도형 반려해변 제도를 올해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이번 통계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해양환경공단의 ‘해양쓰레기 대응센터’가 운영하는 ‘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023 새만금 잼버리 기간 중 ‘한국관’ 등 K-컬처, K-관광 체험 공간 운영
  •  기사 이미지 윤석열 대통령, 새만금 이차전지 투자협약식 참석
  •  기사 이미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노선명, 국민 제안 받는다
정부24
대한민국정부_대표블로그
유니세프_리뉴얼

기사 작성의 동영상 등록에 동영상 소스를 넣어주세요.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