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문체부, 매월 마지막 수요일 직원들 한복 입는다…한복 문화 확산 취지
  • 이지민 기자
  • 등록 2021-03-31 12:08:21

기사수정
  • 한복교복 입는 학교 작년 16개교→올해 25개교, 한복 생활화 위해 협업 지자체 작년 7개소→올해 11개소
  • 문체부, 학교서 학생들 한복교복 지원 및 문화예술기관 직원들 한복근무복 착용 지원…자율적 참여 가능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한복 입기 좋은 날’로 정하고 한복 입는 문화를 확산하는 데 앞장선다고 밝혔다.

 

한복입기 좋은 날 맞이 한복을 입은 문화체육관광부 직원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한복 입기 좋은 날’은 한복 생활화를 위해 문체부가 먼저 나서야 한다는 황희 장관의 제안에 직원들이 호응하면서 시작됐다.

 

문체부는 직원들의 의견을 수렴해 매월 마지막주 수요일인 ‘문화가 있는 날’을 ‘한복 입기 좋은 날’로 정하고 31일부터 시행하며, 직원들은 자율적으로 참여한다.

 

문체부의 한 직원은 “평소 한복을 좋아해서 여행지에서는 즐겨 입었지만, 근무복으로 입을 생각은 하지 못했다. 막상 한복을 입고 출근하니 예쁘면서도 단정해서 근무복장으로 어울리고, 문화 진흥을 담당하는 문체부 직원으로서 자부심도 생기는 것 같다”고 말했다.

 

황 장관은 정부 간 교류 행사 등에 필요한 축하 영상 촬영 시에도 한복을 착용해 우리 전통문화의 아름다움을 해외에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다.

 

지난 3월 8일 한-벨기에 수교 120주년 기념 축하 영상을 촬영한 이후에는 “외국분들과 직접 만나지 못하는 상황에서 우리 문화를 알리기 위해 앞으로도 한복을 입을 기회를 많이 만들겠다”고 SNS에 소감을 남기기도 했다.

 

아울러 문체부는 우리 옷 한복이 일상 속에 스며들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한복교복을, 문화예술기관에서는 직원들이 한복근무복을 입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지자체와도 협업해 한복문화주간을 개최하고 한복을 입으면 누릴 수 있는 혜택이 확대된다. 특히 ▲한복교복을 입는 학교는 작년 16개교에서 올해 25개교로, ▲한복 생활화를 위해 협업하는 지자체는 작년 7개소에서 올해 11개소로 늘어난다.

 

문체부 이진식 문화정책관은 “‘한복 입기 좋은 날’을 통해 한복이 특별한 때에만 입는 옷이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입을 수 있는 일상복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023 새만금 잼버리 기간 중 ‘한국관’ 등 K-컬처, K-관광 체험 공간 운영
  •  기사 이미지 윤석열 대통령, 새만금 이차전지 투자협약식 참석
  •  기사 이미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노선명, 국민 제안 받는다
정부24
대한민국정부_대표블로그
유니세프_리뉴얼

기사 작성의 동영상 등록에 동영상 소스를 넣어주세요.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