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장애인단기자립생활주택 문이 열린다
  • 안준모 기자
  • 등록 2024-04-25 12:00:01

기사수정
  • 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 운영
  • 단기자립생활주택 새롭게 문 열어
  • 다양한 장애인 자립 지원 나서

공공 장애인단기자립생활주택 문이 열린다.

 

장애인단기자립생활주택 입주를 앞둔 (사진 오른쪽)최다빈 씨가 인천시장애인주거전환센터 담당자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인천시사회서비스원(원장‧황흥구) 소속 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이하 주거전환센터)는 다음 달 중 장애인단기자립생활주택 운영을 시작한다고 25일 밝혔다.

 

장애인단기자립생활주택(이하 단기주택)은 이름 그대로 일정 기간 거주하며 자립을 준비하는 장소다. 다음 달 중 연수구 선학동 6호, 동구 송림동 1호 등 모두 7호가 문을 연다. 자립을 희망하나 경험이 부족한 경우, 장기간 시설에 거주한 경우, 장애 특성 등 다양한 이유로 자립 준비가 필요한 장애인이 대상이다.

 

거주 기간은 1~3개월이다. 한 번에 한 해 연장도 가능하다. 거주 방식은 단독세대를 기본으로 하나 송림동은 공동거주 희망자를 별도로 모집해 2명 생활도 가능하다. 전담 사회복지사를 두고 개인 역량에 맞는 자립체험 계획을 세운다. 일상생활, 주거 관리, 금전 관리 등 자립 훈련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특히 이곳은 실전을 준비하는 곳이다. 지역사회 자립 전단계로 이곳을 거쳐 주거전환센터가 운영 중인 장애인지원주택으로 입주가 가능하다. 장애인지원주택은 LH 인천본부, 인천도시공사가 주택을 공급하며 시세보다 낮은 수준의 개인 부담금을 내면 영구 거주가 가능하다. 현재 28호를 운영 중이다.

 

최다빈(27) 씨 역시 단기주택을 거쳐 지원주택 입주를 기다리고 있다. 원하는 지역에 지원주택이 들어서려면 시간이 필요해 단기주택에서 먼저 독립생활을 시작한다. 장애인 거주 시설이 운영하는 자립 체험홈에서 10여 년간 생활했기에 혼자 사는 데 어려움은 없다. 게다가 성인이 된 이후 꾸준히 일하며 저축도 했다.

 

최 씨는 “체험홈은 한 곳에서 오랫동안 살 수가 없어 1~2년 살다 이사하는 생활을 계속 반복했더니 짐도 최소한만 가지고 있다”며 “3~4명이 같이 생활하는 체험홈과 달리 단기주택은 혼자 조용히 좋아하는 음악을 듣고 배우고 싶은 것들도 할 수 있어서 두근거린다”고 말했다.

 

자립하면 운전면허를 따 버스 기사에 도전해볼 생각이다. 음악에도 관심이 많아 작곡도 배우고 싶다. 최 씨는 “커다란 차를 몰아보는 게 로망이다”며 “아직 젊으니까 하고 싶은 것을 배워보면서 제 적성을 찾아갈 생각이다”고 말했다.

 

주거전환센터는 단기주택 운영을 시작하면서 재가 장애인으로 대상자를 확대한다. 현재 장애인지원주택은 시설 퇴소 장애인을 우선 선발 대상으로 하고 있어 집에서 사는 재가 장애인들은 이용이 어려웠다.

 

단기주택은 인천도시공사가 2019년 사회복지법인과 계약하면서 시작했다. 2024년 주거전환센터와 새롭게 계약하고 실질적인 자립을 지원하는 단기주택으로 재탄생한다.

 

황흥구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원장은 “지역사회 자립을 원하는 장애인들이 살 곳이 없어 자립을 주저하지 않도록 우리가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023 새만금 잼버리 기간 중 ‘한국관’ 등 K-컬처, K-관광 체험 공간 운영
  •  기사 이미지 윤석열 대통령, 새만금 이차전지 투자협약식 참석
  •  기사 이미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노선명, 국민 제안 받는다
정부24
대한민국정부_대표블로그
유니세프_리뉴얼

기사 작성의 동영상 등록에 동영상 소스를 넣어주세요.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